RECOMB 2025 (컴퓨터생물학회) 포스터 발표 회고록
(2025.04.26 ~ 2025.04.29)
정말 운이 좋게도 우수 등급 국제 컴퓨터생물학회인 RECOMB 2025가 한국에서 개최되었다. 해외에서 열렸더라면 포스터 발표만으로 항공료, 숙박료 등을 연구비로 지원 받기 어려웠을텐데, 이번에 연세대학교에서 열려 비싸지만.. 가성비(?) 있게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RECOMB 포스터 신청
RECOMB 2025 학회에 포스터를 제출하기 위해서 1월 27일 쯤에 저자 정보와 함께 초록을 작성하여 신청하였다. 관련 내용은 아직 연구가 완전히 마무리 된 것은 아니라, 혹시 몰라서 모자이크 처리해놓았다. 이 당시 학회에 처음 신청해보았던 것이라 여러 사진을 기록으로 남겼다.
RECOMB 포스터 제작
포스터 신청을 한 후, 바로 포스터 제작에 들어가지 않고 계속하여 연구를 진행해왔다. 이후 4월 초, 중순부터 본격적으로 포스터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처음 포스터를 만드는 것이다 보니 구성을 어떻게 잡아야 할지 조금 막막했다. 구글링해서 포스터 구성을 찾아봤고 성격 상 포스터가 눈에 이뻐야 한다는 강박이 약간(?) 있었기에 여러 디자인으로 아래처럼 양식을 만든 후 글과 그림을 채워나갔다. (포스터가 처음이라면 아래의 구성을 참고해보기를!) 나중에 추억하기 위해 포스터 완성본을 올리고 싶지만, 위와 같은 이유로 연구가 완전히 마무리 된 후에 수정해야겠다.
RECOMB 포스터 발표
포스터 발표는 생각보다 더 친근한 분위기에서 이루어졌고 정말 내 연구에 대한 호기심(?)으로 질문하는 사람이 많았다.
#1. 세상에 참 학구열이 높은 사람이 많다.
우리의 포스터에 관심을 가지시고 질문해주신 분 중 기억에 남는 분들은 오히려 우리와 조금은 다른 분야의 사람들이었다. 나의 주제는 바이오인포매틱스로 생물 정보학, 생물 도메인이지만 실험을 하지 않고 컴퓨터로 분석하는 쪽에 가깝다. 하지만, 학회에서는 컴퓨터가 아닌 생물을 포커스로 실험을 하시는 분들도 많았다.
한 분은 의대 교수님으로 실험을 위주로 하시는 분으로 데이터 분석을 하지 못해서 한번 해볼까 고민하시던 모습이 기억이 난다. 교수님의 세부 분야가 아니더라도 도전해보고자 하시는 열정과 자세히 이해하고자 물어보시는게 참 대단하다고 느꼈다. 이런 분들이 교수를 하는구나.. 라는 생각이 들면서 신기했던 경험이었다. 이외에도 식물을 주로 연구하시는 분이 식물의 Gene Interaction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은데 우리의 연구를 응용해서 해보면 좋겠다고 말씀하시기도 하였다. 식물에 Pathway가 존재한다는 사실도 처음 알았고 새로운 시선이었다.
#2. 나의 연구에 대한 피드백을 받으며 나를 홍보할 수 있는 시간이다.
처음에는 단순히 포스터 발표가 '우리 이렇게 했어요~' 소개하는 시간으로만 생각했었는데, 나를 PR할 수 있는 시간이면서도 건전한 토론이 이루어지는 시간이었다. 실제로 포스터 위에 자신의 CV를 붙여서 포스닥, 박사 등 좋은 기회를 주체적으로 찾아 나가는 분들도 꽤 있었다.
나의 연구에 대해 여러 질문을 받으면서 한번 더 연구에 대해 곱씹어 보게 되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고, 포스터 발표를 하면서 받은 내용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모델을 이용하여 Drug Ranking을 뽑고 실제 데이터와 비교해 실증
- 왜 많은 Chemical Model 중 ChemBERTa를 사용하였는지
- GDSC2 데이터셋 사용
- Attention weights의 해석력과 문헌 입증
짧은 기간이었지만, 학회에서 세션을 듣고 포스터 발표를 하면서 많은 것을 느끼고 색다른 경험이었다. 한 가지 아쉬웠던 점은 생물학적인 영단어를 포함해서 나의 영어 실력 부족으로 더 많은 것을 배우고 이해하지 못했던게 슬프다. 이래서 영어 공부를 해야하는구나.. 또 느낄 수 있었다.
'예바의 L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SIGHT] 서버 내의 폴더 압축하여 rsync로 전송하기 (0) | 2025.05.05 |
---|---|
[INSIGHT] 딥러닝에서 Tensor로 연산 효율 개선하기 (0) | 2025.03.15 |
[INSIGHT] Pytorch Profiler로 모델의 메모리 연산 및 실행시간 분석하기 (1) | 2025.02.20 |
[논문 발표] Differential Transformer (3) | 2024.11.16 |
[프로젝트] Samsung AI Challenge: MLFF Fields 2024 (5) | 2024.09.18 |